경제학 이론서18 [생각에 관한 생각] #14 대표성 어림짐작으로 확률 추정하기 확률을 판단할 때 시스템 1은 대표성이라는 주관적 생각을 들이밀어 오류투성이 결정을 내린다. 대표성이 무엇인지, 시스템 1이 어떻게 잘못된 결정을 내리는지를 알아보고, 어떻게 객관적으로 확률을 판단할 수 있을지 알아보자. 이번 글 요약 1. 사물, 사건에 대한 대표적인 이미지를 대표성이라 하며, 대표성에 기댄 예측은 오류투성이다. 2. 대표성 어림짐작에 의해 발생하는 두 가지 과오 3. 기저율 중심, 추가 정보에 대한 의심으로 직관을 훈련해야 한다. 1. 사물, 사건에 대한 대표적인 이미지를 대표성이라 하며, 대표성에 기댄 예측은 오류투성이다. 대표성의 의미가 바로 이해되지 않기에, 실험 사례를 통해서 대표성의 의미와 대표성에 의한 오류를 알아볼 것이다. 톰 W를 대학원생이라고 해보자. 아래 9개 전공 .. 2022. 6. 16. [생각에 관한 생각] #13 회상 용이성 어림짐작과 감정 이번 글에선 회상 용이성과 감정의 연관성을 알아보자. 주의를 끄는 소재, 극적인 사건, 직접적 경험들은 감정에 영향을 주고 감정은 회상 용이성을 자극하여 선택을 좌지우지하는 요소가 된다. 즉, 어떤 사물, 사건에 대한 우리의 감정이 변하면 우리의 결정 또한 상당히 달라지는데 사례들을 통해 알아보자. 이번 글의 키워드 1. 회상 용이성과 감정의 연관성 2. 회상 용이성 어림짐작과 감정 어림짐작 잠재적 위험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회상 용이성이 그들 분야와 관련 있다는 사실을 알아챘다. 예를 들어 재난 발생 후 보험에 가입자 수가 증가하는 유형을 설명하는데 회상 용이성 효과가 유용하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재난은 기억에서 희미해진다. 기억은 역동적이어서 재난, 관심, 현실 안주가 반복된다... 2022. 6. 15. [생각에 관한 생각] #12 회상 용이성 어림짐작 직관적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무엇일까? 자극적인 뉴스, 직접 겪어본 경험, 충격적인 소식 등이 우리에게 주입되고 마치 우리의 생각인 양 자리 잡게 된다. 그리고 사고에 자리 잡은 생각은 시스템 1이 결정을 내릴 때 영향을 미친다. 회상 용이성 어림짐작이란, '사례가 머릿속에 쉽게 떠오르는 정도에 따라 시스템 1이 어림짐작'을 하는 것이다. 사고 시스템과 회상 용이성 어림짐작의 연관성을 알아보겠다. 이번 글의 키워드 1. 회상 용이성 어림짐작 2. 회상 용이성 심리 1. 회상 용이성 어림짐작 저자는 회상 용이성 어림짐작이란 개념을 '특정 범주의 크기 또는 사건이 발생하는 빈도를 추정할 때, 사람들이 어떤 생각에 의해 답을 내리는지'로 설명하고 있다. 회상 용이성 어림짐작은 판단 어림짐작과 동일하게 문.. 2022. 6. 13. [생각에 관한 생각] #11 기준점에 휘둘리는 사고 부동산을 매입하는 상황에서 처음으로 현 주인이 터무니없이 높은 가격을 제시한다면, 그 가격에 휘둘리지 않을 자신이 있는가? 불행하게도 사람의 사고 시스템은 자연스레 처음 제시된 가격에 휘둘리게 된다. 어떻게 이런 현상이 나타나며, 실제로 자신도 기준점(주인이 제시한 가격)에 휘둘리는지 직접 확인해보자. 그리고 기준점에 휘둘리지 않는 방법도 알아보자. 1. 기준점 효과 아래 질문에 바로 떠오르는 대답과 추정 사망 나이를 예측해보자. '간디가 114세가 넘어 사망했을까?' 아마 114세는 아주 많은 나이이기에, 이 나이보다는 적었을 때(예, 85살) 사망했다고 추정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아래 질문에도 답변해보자. '간디가 35세가 넘어 사망했을까?' 질문의 답변은 35세는 넘었을 것 같은데, 시대 배경.. 2022. 6. 7. 이전 1 2 3 4 5 다음